# 내장객체
객체는 생성자함수를 사용하여 내용을 정의하지만
내장객체는 이미 생성자함수의 내용을 포함하고있어서 별도의 함수를 정의하지않고
new 연산자를 통해 다음과같이 객체로 정의해주면됨
객체명=new 객체의형식(값)
var now=new Date(2013,4,13)
하지만 String객체나 Math객체등과같이 new연산자를사용하지않는것도있는데 이를 정적객체라고 함!
# String 객체( 정적객체 )
: 단순히 문자열을 변수에할당하면 String객체가생성됨
: index는 0번부터 시작!!
// 변수명="문자열"
var str="abc"
1. .length : 문자열 길이 반환
"abcd".length
2. .charAt(2) : 문자열왼쪽0번부터시작하여 2번째 문자를 표시
"abcd".charAt(2); // c
3. .substr(2 , 3) : 문자열왼쪽 2번째부터 차례대로 4개를 구함
"abcd".substr(2,3); // cd
4. .substring(2 , 4) : 문자열왼쪽 2번째부터 4번째보다 작은거(3번째미포함)
"abcdef".substring(2,4) // cd
5. .slice(2 , 4) : 문자열왼쪽 2번째부터 4번째보다 작은거(3번째미포함)( substring과같지만 음수도됨)
( 음수는 오른쪽부터 맨끝문자가 -1 )
"abcdef".slice(2,-1) // cde
6. .concat("문자열") : 문자열을 덧붙힘( 추가 )
"abcdef".concat("jj") // abcdefjj
7. .split("구분자") : 구분자를 기준으로 잘라 배열로 리턴( 리턴은 구분자를 , 로 대체하여 문자열리턴 )
"ajbcjdef".split("j") // a,bc,def
"ajbcjdef".split("j")[0] // a
8. .toUpperCase() : 대문자로
<-> .toLowerCase() : 소문자로
9. .indexOf("찾는문자열") : 찾는문자열의 시작 위치를 표시
"ajbcjdef".indexOf("j") // 1
10. .indexOf("찾는문자열") : 찾는문자열의 마지막 위치를 표시
"ajbcjdef".lastIndexOf("j") // 4
# Date 객체
: 사용자의 시스템혹은 서버의 시스템에서 날짜와 시간을 가져다 화면에 보여줄수있는객체
또한 임의로세팅할수도있고 불러올수도있다. new연산자이용해서 생성자를통해 정의해줄수도있음
[ex] 기본
var now = new Date();
now.getYear(); // 년
now.getMonth(); // 월 0이 1월
now.getDate(); // 일
now.getDay(); // 요일 0이 일요일
[ex] 임의 세팅1
var now = new Date(2013,5,3);
[ex] 임의 세팅2
var now = new Date();
now.setDate(2);
# Math 객체( 정적객체 )
Math.PI // 3.14... 상수값
Math.floor(숫자); // 내림
Math.round(숫자); // 반올림
Math.ceil(숫자); // 올림
Math.random(); // 0~1사이 랜덤값
# Array객체
: 배열을 만들때 사용하는 내장객체
- sort() : 정렬(기본 오름차순)
- slice(1,5) : 배열뽑아내기 : 배열 [1]~[5]까지 뽑아냄
- a.concat(b) :배열추가 : a배열에 b배열 추가 //string객체에도 문자열추가하는 concat()있음
- join(특정기호) : 배열사이사이의 , 대신 특정기호를 넣는다 (배열주소값을 출력하면 a특정기호b특정기호c 이런식으로!)
- reverse() :배열순서뒤바뀜
aa=new Array(5); //aa.length : 5
aa=new Array(5,5); //aa.length : 2
위둘의 aa.length는 다름... 하나만 넣으면 방갯수임
# function객체 (p.532)
함수와 Function객체는 같은기능임...아래 두 예문은 같은기능!
함수
function take(a,b){
return (a+b)
}
document.write(take(10,20));
Function객체
take=new Function("a","b","return(a+b)") (반드시 return필요)
document.write(take(10,20));
# Screen객체 : 사용자 화면의 해상도등의 정보알수있음
속성 - width, height : 모니터해상도를 픽셀로 표시
availHeight , availWidth : 인터페이스(작업표시줄)등을 제외한 해상도를픽셀로
# Event객체 :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클릭이나 움직임등을 설정할때 사용하는객체
하지만 event객체는 익스와 네스케이프와 서로다르게지원하기때문에 각각작성해줘야함
ex)크로스브라우징해결법(각각 작성 ㅠㅠ)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ta (0) | 2019.03.04 |
---|---|
JSON객체 ( JavaScript Object Notaion ) (0) | 2019.03.04 |
String, Math, Date, Array 객체들의 메서드 (0) | 2019.03.04 |
객체 (0) | 2019.03.04 |
배열 (0) | 2019.03.04 |